본문 바로가기
목표_자기계발

컨디션이 100일 때 1순위로 무엇을 할지가 중요하다.

by secret9 2022. 12. 11.

- 골든에너지 : 100~50까지라고 해보자.

 

100이 FULL 상태이다.

 

===============

 

회사생활이 문제가 있는 부분은

 

자고 일어나면 컨디션이 가장 좋은데

 

우리는 그 컨디션을 회사에서 모두 소진한다.

 

100~30까지의 에너지를 회사에서 다쓰고

 

퇴근 후에 30~0 까지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물론 좋은 회사라서 배울게 많은 회사라면 최고이지만

 

===========

 

별로 배울게 없는 회사라면 빨리 이직하는게 장기적으로 인생에 좋다.

 

100~30까지의 중요한 에너지를 bad 회사에 쓰면 안된다.

 

=====================

 

만약에 오후에 출근을 하는 회사라면

 

가장 컨디션 좋은 오전에 재테크 공부를 하거나 프로그래밍 공부를 먼저 한다면

 

재테크 실력은 매우 빠르게 좋아질 것이고

 

프로그래밍 실력도 빠르게 좋아질 것이다.

 

==================

 

만약에 배울 것 없는 회사에서 [골든 에너지]를 계속 써버리면 악순환이다.

 

================

 

아침부터~ 오후 3시까지 -> 생산성 골든 타임이다.

 

==================

 

편의점 알바를 한다고 해보자.

 

성공 측면에서 오전~오후 3시까지는 피하는게 좋다.

 

오후 3시 이후는 에너지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때 알바에서 남은 에너지를 쓰는게 좋다.

 

생산성 골든 타임을 비효율적인 일에 사용하면 안된다.

 

에너지 100 to 50까지를 가장 중요한 일에 쓰고

 

50~0까지는 상대적으로 안 중요한 일에 써야한다.

 

==================

 

- 그래서 휴일 활용이 매우 중요한데

 

휴일에는 회사를 안 가도 되고.

 

100이라는 에너지를 내가 원하는 곳에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만약에 프로그래밍을 잘하고 싶다면

 

100~50까지의 에너지를 일단 프로그래밍에 다 쓰면 된다.

 

-> 에너지를 다른 곳에 다 쓰고 30정도 남았는데

 

이 에너지를 프로그래밍에 쓰려고 하면 매우 비효율적이다.

 

===================

 

ex. 예전에 학점은행제로 - 컴퓨터공학 학사 취득할 때

반 강제적으로 학점은행제가 1순위가 되어서

상당히 빠르게 취득했다.

 

+ 강제력이 없는 공부를 할 때는 더더욱 의식적으로 우선순위를 관리해야한다.

 

=================

 

+ 100~50까지 가는데 2시간 이면 가능하다.

 

2시간 빡세게 집중하면 100~50까지 에너지 떨어지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

댓글